• Price
  • Medium
Prev
Next
EXHIBITIONS
Hakgojae Gallery
자연과의 대화
물과 돌, 대나무와 소나무.. 앤드류 부캐넌(페어필드 아트센터 디렉터) 박성실의 작업은 언어적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요즘처럼 많은 작품들이 설명과 해석, 인용을 요구하여 오히려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을 만드는 데 반해, 박성실의 작업은 작업자체가 모든 것을 이야기해 주어 그녀의 작품을 대하는 것이 그지없이 즐거운 일이기 때문이다. 박성실은 식물과 자연을 그린다. 박성실이 그린 자연은 틀에 박힌 전원적이고 낭만적인 자연이 아니다. 그것을 ‘자연주의 그림’이라고 단정짓기에는 너무 많은 요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박성실이 그린 자연은 보는 이에게 진정한 ‘실제’를 제시하는 자연인 것이다. 명백한 ‘존재성’이 강조된 자연이다. 작품을 보고 있으면 그곳에 실재하는 자신을 느낄 수 있을 뿐 아니라 큰 잎사귀를 바라보며 누워 그 녹색의 세계에 당신을 함몰하고픈 느낌을 갖게 된다. 작업의 강렬함은 작가 스스로가 작품주제에 가진 깊은 애정과 공감의 결과로 만들어 진 것이다. 작가의 자연에 대한 직관을 ‘물활론物活論 (정령주의)’ 쯤으로 기술하는 것은 바르지 않다. 그 무엇도 ‘진실’을 능가할 수는 없다. 박성실의 자연세계는 살아 숨쉬고 있고, 나아가 실재로 자연세계와 교감하고 있다. 윤선도의 유명한 시구인 ‘내 친구는 물과 돌, 대나무와 소나무이다!’가 떠오른다. 박성실은 ‘나의 작업은 존재성을 확인하는 것이며 존재함을 보이는 것이 나의 작업’이라고 말했다. 우리는 그림을 통해 박성실이 경험한 자연과 세계를 느낄 수 있다. 아마도 우리가 너무 바쁜 생활에 쫓겨 보지 못하는 것들을 가시화 시키는 것이 그의 작업이다. 그는 ‘그 자체로의 자연의 세계’를, 그리고 ‘그 자신을 위해 그렇게 존재하는 세계’를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평범한 연못의 오리들도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 벌과 긴 다리를 가진 거미는 그 존재감으로 마치 금방 살아서 움직일 것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한다. 그는 그림이란 일기이며, 모든 것에서 받는 강한 느낌을 그린다고 말한다. <알마의 내 친구 >(2006)는 박성실이 17년이나 살았던 장소(알마맨션, 핸던)를 기억하려고 만든 작업이다. 친구같이 공존했던 단풍나무가 잘리게 된다는 소식을 들은 그는 떨어진 나무 가지들을 태워 재로 만들어 그 재를 먹물과 함께 섞어 그림을 그렸다. 나무의 실재 흔적을 그림에 남김으로써, 나무가 짤리운 후에도 함께 존재하게 하고 싶었다고 한다. 박성실의 초기 추상작업은 흙을 미디어로 사용하면서 동시에 내용 자체로 사용하였다. 흙이 모노톤의 형상을 가진 연약하면서도 품위 있는 식물 줄기로 표현되었다. 모노톤은 시각적 아름다움 보다도 그것이 가진 존재성을 강조하기 위해 선택한 것이라고 한다. 반대로 최근 그녀의 작품들에는 다양한 색이 사용된다. 붉은 잉어가 연못에 나타나기도 하고, 에서는 새벽을 알리는 반투명의 진주 빛이 어두운 나뭇가지 사이로 새어 나오는 빛으로 표현 되기도 한다. 동양과 서양 박성실과 같은 시각에서 자연을 접근하는 작가를 서양에서 발견하지는 쉽지 않다. 서양에서는 자연보다는 인간을 중요하게 생각해 왔다. 서양미술사에서 인물이 대지와 저택을 배경으로 자랑스럽게 애견이나 말처럼 좋아하는 동물들과 그려져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즉 서양에서 자연은 하나의 소유물이거나 길들여야 할 대상으로 취급되어져 왔다. 반면 동양화에서 인물은 거대한 자연의 일부로, 큰 산에 작은 점으로 그려져 왔다. 자연에 대한 동양과 서양의 다른 시각 볼 수 있다. 박성실의 작업은 동양과 서양의 다른 자연관과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최근 서구에서 자연환경과 녹지화에 대한 인식이 생겨나면서 자연관이 바뀌고 있지만 박성실처럼 자연과의 교류를 진지하게 호소하는 서구작가를 나는 아직 본적이 없다. 그는 동양적인 감각과 구도를 가지면서도 서양화를 다루는 고도의 테크닉을 보여준다. 작업에서 유화를 다루던, 흙을 다루던, 아크릴과 한지, 먹으로 다루던 자유자재로 그만의 세계를 반영한다. 그녀의 시각은 어떤 재료를 사용하던, 어떤 문화로 걸러내던, 자유롭고 분방하다. 한강 변에 바람에 휘날리는 갈대이건, 영국의 추운 겨울에 말라 비틀어진 수초이던, 그 심심한 들풀 하나에서도 자체가 가진 삶과 불가사의한 아름다움이 있다. 물론 동서양의 비교론적 관점에서 동양화 스타일로 그린 영국의 공원과 전통적인 주제를 신선한 현대적 시각에서 보는 관점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싶다. 그러나 무엇보다 말하고 싶은 것은 박성실 그림의 자연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자연의 한 부분임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서울에 살던, 북경에 살던 아니면 런던에 살던 지구의 어느 곳에 살던, 그곳에 있는 연못의 표면에 아직도 겸손한 빗방울이 떨어져 파문을 만드는 이 세계에 우리가 살고 잇다는 것이다.
  • DATE
    2007.06.13 - 2007.06.26
  • ARTIST
Artworks
가로모드를 지원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