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ice
  • Medium
강요배

 

강요배는 민중미술 운동의 제 1세대 작가다. 80년대 초 미술그룹 <현실과 발언>의 멤버로 활동했던 그는 리얼리즘 회화와 역사 주제화의 새로운 지평을 펼쳐 보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 받는다. 강요배의 작품은 제주의 역사와 자연의 아름다움을 캔버스 위에 담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자연의 풍경을 단순한 객체로서의 대상이 아니라 주체의 심적 변화를 읽는 또 다른 주체로 다룬다. 작가는 삶의 풍경에는 따뜻한 날, 안온한 날 뿐만 아니라 폭풍이 칠 때, 혹은 비올 때가 있는 것처럼 작품에도 저마다 다른 감정이 담겨야 한다고 말한다.

 

강요배는 1952년 제주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제주 4·3항쟁을 몸소 겪었다. 평범한 이름을 가진 이들이 오해를 받아 색출되고 죽임을 당하는 모습을 수없이 목격했다. 아들에게 특별한 이름을 붙여주어야겠다는 생각에 堯(요나라 요), 培(북돋을 배)를 써 강요배라는 이름을 지었다. 강요배는 1979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한 후 1982년에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1981년 민중미술 동인 ‘현실과 발언’에 합류했다. 시대적 현실을 드러내는 풍경을 화면에 담으며 작품세계를 발전시켰다. 1988년부터 3년간 〈제주민중항쟁사〉 연작을 그렸다. 고려시대부터 4·3까지 제주 지역 민중 항쟁사를 주제로 한 역사화 연작이다. 제주 역사와 강요배를 굳건하게 연결 짓는 매개가 됐다. 50점의 연작을 모아 《강요배 역사 그림 – 제주민중항쟁사》(학고재, 1992)를 개최했다. 4·3의 현실을 국제 사회에 알리고, 역사 주제화의 새 지평을 연 전시로 평가받았다. 이후 강요배는 제주 자연과 역사를 담은 회화를 꾸준히 제작해 왔다. 2015년, 이중섭 미술상을 수상하며 한국 현대미술사의 주요 작가로 인정받았다. 2018년에는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옥관문화훈장을 수여 받았으며 2020년 제21회 이인성 미술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Biography

1952 제주 출생

1979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1982 서울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
제주에서 거주 및 작업

개인전

2022 첫눈에, 학고재, 서울

2021 카네이션 마음이 몸이 될 때, 대구미술관, 대구

2020 풍경의 깊이, 학고재 오룸 (온라인 전시)

금강산과 DMZ, 제주국제평화센터, 서귀포

2018 메멘토, 동백, 학고재, 서울

()을 찾아서, 학고재, 서울

2016 시간의 창, 이중섭미술관, 서귀포

시간 속을 부는 바람,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15 27회 이중섭미술상 수상기념전: 소리,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2014 소년, 소녀를 만나다, 그림책갤러리 제라진, 제주

소묘: 1985-2014, 학고재, 서울

2013 학고재, 서울

2011 풍화, 제주돌문화공원 오백장군갤러리, 제주

2009 강요배의 습작시절, 제주교육박물관, 제주

2008 스침, 학고재, 서울

강요배의 4·3 역사화: 동백꽃 지다, 제주 4·3 평화기념관, 제주

2007 섬 빛깔, 제주문예회관, 제주

2006 땅에 스민 시간, 학고재, 서울

아트스페이스 씨, 제주

2003 학고재, 서울

1999 금강산, 아트스페이스 서울, 서울; 학고재, 서울

1988        동백꽃 지다 – 4·3 역사화, 학고재, 서울; 세종갤러리, 제주;

                송원갤러리, 광주; 가톨릭센터, 부산; 월성문화관, 대구

1995  섬 땅의 자연, 조현화랑, 부산

1994 제주의 자연, 학고재, 서울; 데미화랑, 서울; 세종갤러리, 제주

1992 제주민중항쟁사, 학고재, 서울; 단공갤러리, 대구

1976 (), 대호다방, 제주

 


 

수상

2020 21회 이인성미술상, 대구미술관, 대구

2018 옥관문화훈장, 문화체육관광부, 세종

2015 27회 이중섭미술상,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1998 민족예술상,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서울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전남도립미술관, 광양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정부미술은행, 과천

대구미술관, 대구

기당미술관, 서귀포

 

 

 

 

주요 단체전

2022 생의 찬미,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어느 수집가의 초대,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흙과 몸 성긴 연결, 촘촘한 관계, 전남도립미술관, 광양

2021 38˚C, 학고재, 서울

우리 시대에,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바람보다 먼저,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수원

날씨의 까닭, 기당미술관, 서귀포

신소장품 2017-2020: 이어진 세계들,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2020 MMCA 소장품 하이라이트 2020+,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그림과 말 2020, 학고재, 서울

2019 2010-2019 10: 지금까지, 그리고 모색, 기당미술관, 서귀포

99+1,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광장: 미술과 사회 1900-2019,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소화(素畵) – 한국 근현대 드로잉, 소마미술관, 서울

1919 3 1일 날씨 맑음, 대구미술관, 대구; 국립현대미술관, 뉴델리

인물, 초상 그리고 사람 한국 근현대인물화, 갤러리현대, 서울

정태춘 박은옥 40주년 기념전: 다시, 건너간다, 세종문화회관, 서울

2018 이야기 사이, 경기도미술관, 안산

4·3 70주년 특별전: 포스트 트라우마,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4·3 70주년 동아시아 평화인권전, 침묵에서 외침으로

제주 4·3 평화기념관, 제주

2017 코리아 투모로우 2017: 해석된 풍경, 성곡미술관, 서울

제주정신, 서귀포예술의전당, 서귀포

제주비엔날레 2017: 투어리즘,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허우당싹, 문화공간제주아트 갤러리, 제주

4·3 미술 아카이브: 기억 투쟁 30,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삼라만상: 김환기에서 양푸둥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16 아리랑 랩소디, 제주현대미술관, 제주

제주·라비니츠 현대미술전, 제주현대미술관, 제주

백화만발 만화방창 백 개의 그림, 만 가지 이야기, 경기도미술관, 안산

가나아트 컬렉션 앤솔러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5 아시아의 사회적 리얼리즘 1. 무망도(无妄), 학고재 상하이, 상하이

224·3 미술제: 얼음의 투명한 눈물,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광복70주년 한국근현대미술특별전,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평창비엔날레: 생명의 약동, 알펜시아, 평창

지금, 여기,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6회 제주일본 신화교류전: 신화의 기억을 나누다, 제주문예회관, 제주

2014 광주비엔날레 20주년 특별프로젝트: 달콤한 이슬 – 1980 그 후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214·3 미술제: 오키나와 타이완 제주 사이 제주의 바다는 

갑오년이다!,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바람을 흔들다,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한국현대미술의 흐름Ⅶ - 리얼리즘, 김해문화의전당 윤슬미술관, 김해

공재 윤두서, 국립광주박물관, 광주

생명의 숨, 신화의 방,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제주

동백꽃 지다: 제주 4·3 담아낸 한국현대미술가, 소노마카운티뮤지엄

산타로사, 미국

새봄의 항해, KBS제주방송총국, 제주

인도네시아-한국 작가 기획전: 로우 스트림, 제주현대미술관, 제주

2013 , 제주현대미술관, 제주

두 섬의 확정, 인도네시아 국립미술관, 자카르타; 토니라카 갤러리, 발리

인도네시아

204·3 미술제: () – 여러 개의 시선들, 제주 4·3 평화기념관

제주

충북민족미술·아트페스티벌: 현실미술과 미술의 시대정신

우민아트센터, 청주

풍경 그림을 그린다는 것, 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 부산

2012 4회 제주일본 신화교류전, 신화의 기억을 나누다, 제주현대미술관,

제주

194·3 미술제, 식구(食口), 제주 4·3 평화기념관, 제주

DMZ 평화그림책 프로젝트: 겨울 겨울 겨울, , 경기도미술관, 안산

모성,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서울

2011 코리안 랩소디: 역사와 기억의 몽타주, 삼성미술관 리움, 서울

대지의 꿈, 인사아트센터, 서울

7회 제주신화전, 깊고 깊은 시선, 제주문화포럼, 제주

3회 제주일본 신화교류전: 신화의 기억을 나누다, 사야마이케 박물관

오사카

구럼비가 운다, 아트스페이스 씨, 제주

공존 그리고 상생,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삶과 풍토, 대구미술관, 대구

2010 현실과 발언 30: 사회적 현실과 미술적 현실, 인사아트센터, 서울   

2회 제주일본 신화교류전, 신화의 기억을 나누다, 제주문예회관, 제주

화산섬 제주의 삶, 풍경, 제주문예회관, 제주; 우에노모리미술관, 도쿄

노란 선을 넘어서, 경향갤러리, 서울

한국 근현대미술 거장, 63 스카이아트 미술관, 서울

한국 드로잉 30: 1970-2000, 소마미술관, 서울

2009 제주 세계자연유산 특별전: 자연의 신화, 제주현대미술관, 제주

2009 평화미술제: 대지의 꽃을 바다가…, 제주현대미술관, 제주

제주미술의 어제와 오늘,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아시아 그리고 쌀,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전주

2008 오늘의 한국미술_미술의 표정,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10차 람사르총회 기념 특별전,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민중의 고동: 한국 미술의 리얼리즘 1945-2005, 반다이지마 미술관

니가타, 일본; 후쿠오카 아시아미술관후쿠오카, 일본; 미야코노죠 

시립미술관, 미야코노죠, 일본; 오오타니 기념미술관, 니시노미야, 일본

후추 시립미술관, 후추, 일본

2007 코리아 통일 미술전, 부산민주공원, 부산

남해안 비경 베스트100,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거제문화예술회관,

거제

144·3 미술제, 다시 그 곳에 서서, 제주문예회관, 제주

신화를 삼킨 섬 - 제주 풍광, 제주현대미술관, 제주

2005 제주-발리, 토니라카 갤러리, 발리, 인도네시아

발리-제주, 제주문예회관, 제주

길에서 다시 만나다, 부산민주공원, 부산; 광주518기념 문화관, 광주

태백 문화관, 태백청주 예술의전당, 청주서울아트센터 공평갤러리

서울

124·3 미술제, 동행, 제주문예회관, 제주

2004        13회 제주미술제, 열린 시공을 향한 제주형, 탐라색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 기당미술관, 서귀포

                바람의 신화 2004, 제주문예회관, 제주

정물예찬, 일민미술관, 서울

평화선언 2004 세계 100인의 미술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길에 관한 명상, 제주문예회관, 제주

6회 제주·충북 문화예술교류행사, 생명, 평화, 기당미술관, 서귀포

114·3 미술제, 길이 끝나는 곳에서 다시 길을 만나다

제주문예회관제주

2003 104·3 미술제, 진실의 횃불 밝혀 평화의 바다로, 제주문예회관, 제주

진경 그 새로운 제안,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깊은-그림, 대안공간 풀 서울

탐라미술인협회 10주년, 신산갤러리, 제주

1901년 제주항쟁기념 역사미술전, 국립제주박물관, 제주

2002 94·3 미술제, 테러, 제주문예회관, 제주

풍토-바람 땅, 구름 뫼, 충북문예회관, 청주

민족미술 20, 청주예술의전당, 청주

지금 그 사람, 세종갤러리, 제주

제비울미술관 개관전, 제비울미술관, 과천

2001 84·3 미술제, 한라와 무등-역사의 맥, 제주문예회관, 제주

제주의 습지전-목 긴 청개구리, 세종갤러리, 제주; 갤러리 제주아트, 제주

생명으로의 초대, 학고재, 서울

4·3과 노근리, 청주예술의전당 청주문화관, 청주

기초/전망, 서울미술관, 서울

13회 조국의 산하, 바람바람바람, 광화문 갤러리, 서울

아름다운 생명, 예술마당 솔, 대구

2000 3회 광주비엔날레, 인간(+),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광주

해양미술제 2000, 세종문화회관, 서울

74·3 미술제, 역사가 서린 땅, 제주문예회관, 제주

충북·제주문화예술만나기-물길 고갯길 사람의 길, 제주문예회관

제주

제주의 풍속화, 세종갤러리, 제주

1999 64·3 미술제, 보이지 않는 손, 보는 눈 4·3과 미국, 제주문예회관

제주

제주미술 맑은 바람, 세종갤러리, 제주

1998 우리 들꽃, 사비나갤러리, 서울

54·3 미술제, 상극의 빗장을 열고 상생의 아름다움으로

제주문예회관제주

잘못된 만남, 사비나갤러리, 서울

1997 44·3 미술제, 자연·사람·역사, 제주문예회관, 제주

한국의 미를 찾아서, 사비나갤러리, 서울

기당미술관 10주년, 기당미술관, 서귀포

1996 전통과 현실의 작가 17, 학고재, 서울

34·3 미술제, 4·3 그 되살림과 깨어남의 아름다움, 세종갤러리, 제주

사라진 제국의 숨결을 찾아서: 네번째 실크로드 미술기행, 동아갤러리

서울

동시대 작가, 아라리오갤러리, 천안

  8회 조국의 산하, -내일로 흐르는 삶의 도도함처럼,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1995 1회 광주비엔날레, 광주5월 정신,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광주 통일미술제, 망월동 묘역, 광주

해방50년 역사미술전,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4·3 미술제, 넋이여 오라, 세종갤러리, 제주

9인 작가초대전, 갤러리 제주아트, 제주

1945-1995 해방 50년 역사의 지층, 현실의 꽃, 세종갤러리, 제주

                갤러리 제주아트, 제주

1994 민중미술15: 1980-1994,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동학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제주미술 맑은 바람, 세종갤러리, 제주

14·3 미술제, 닫힌 가슴을 열며, 제주문예회관, 제주; 세종갤러리

제주

1993 코리아 통일미술, 센트럴미술관 아넥스, 도쿄

3회 제주미술제, 제주문예회관, 제주

12월전, 10년 후, 덕원미술관, 서울

1992 2회 제주미술제, 제주문예회관, 제주

개관3주년 특별전, 오늘의 삶, 오늘의 미술, 금호갤러리, 서울

90년대 우리미술의 단면, 가람화랑, 서울; 갤러리 상문당, 서울; 학고재

서울; 현 갤러리,  서울

1991 우리 시대의 표정 인간과 자연, 그림마당 , 서울

18인전, 서울미술관, 서울

1990 젊은 시각 내일에의 제안,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교육현장, 그림마당 , 서울

현실과 발언 10, 관훈미술관, 서울; 그림마당 , 서울

그림마당 개관 4주년 기념전: 우리시대의 표정-인간과 자연, 그림마당 

, 서울

새벽의 숨결 동향과 전망, 서울미술관, 서울

1989 민족미술자리매김, 그림마당 , 서울

조국의 산하, 그림마당 , 서울

더불어 사는 삶, 예술마당 금강, 서울

삶의 터전을 되살리는 서화·도예, 그림마당 , 서울

현대미술 새로운 시각, 세종갤러리, 제주

1988 한반도는 미국을 본다, 그림마당 , 서울

1987 민족미술협회 반고문, 그림마당 , 서울; 광주 카톨릭미술관, 광주

1986 JAALA, 도쿄도현대미술관, 도쿄

우리시대 30대 기수, 그림마당 , 서울

1985 을축년 미술대동잔치, 아랍문화회관, 서울

1984 삶의 미술, 아랍문화회관, 서울; 관훈미술관, 서울; 3미술관, 서울

현실과 발언, 6. 25, 아랍문화회관, 서울

해방40년 역사, 광주아카데미미술관, 광주; 전남대교정, 광주; 대구 

현대화랑, 대구; 부산 카톨릭센터, 부산

마산 진화랑, 마산; 연대 중앙도서관 앞, 서울, 고대 학생회관 앞, 서울

1983 1회 시대정신, 3미술관, 서울

1982 젊은 의식, 덕수미술관, 서울

현실과 발언, 행복의 모습, 덕수미술관, 서울

1981 현실과 발언, 도시와 시각, 롯데화랑, 서울

현대미술 워크숍 기획전, 동덕아트갤러리, 서울

1981-90   현실과 발언

1980 12, 덕수미술관, 서울

관점미술동인전, 청년작가회관, 서울

1977-80   1-9회 관점, 대호화랑, 제주

 

Artworks
봄볕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72.5x60.5cm

눈 속에서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91x72.7cm

꽃 두 송이

2019

캔버스에 아크릴릭

91x72.7cm

새 한 마리

2019

캔버스에 아크릴릭

91x72.7cm

소향(素向)

2019

캔버스에 아크릴릭

91x72.7cm

독조(獨鳥)

2019

캔버스에 아크릴릭

91x117cm

손바닥 선인장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116.7x91cm

배나무꽃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116.7x91cm

바ᄅᆞ레(바다에)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116.7x91cm

꽃봉오리들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116.7x91cm

홍도 Ⅱ

2018

캔버스에 아크릴릭

91x116.7cm

한 망사리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112x145.5cm

흰 해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145.5x112cm

정월(正月)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145.5x112cm

월식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x112cm

풍설매(風雪梅)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130x162cm

가을 풀섶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x130cm

만매(晚梅)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x130cm

설담(雪談)

2020

캔버스에 아크릴릭

112x162cm

설향자(雪香子)

2021

캔버스에 아크릴릭

112x162cm

비천(飛天)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227x182cm

구름 속에

2021

캔버스에 아크릴릭

227.5x181.7cm

장밋빛 하늘

2021

캔버스에 아크릴릭

181.7x227.5cm

대지 아래 산

2021

캔버스에 아크릴릭

194x259.5cm

'장미'의 아침놀

2021

캔버스에 아크릴릭

181.7x259.5cm

구룡폭(九龍瀑) Ⅲ

2019

캔버스에 아크릴릭

259x181.5cm

중향성(衆香城)

2019

캔버스에 아크릴릭

197x333.3cm

'바비'가 온 정원

2021

캔버스에 아크릴릭

194x520cm

쳐라쳐라

2021

캔버스에 아크릴릭

194x520cm

산상(山上)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197x667cm

흑산도

2017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 x 130 cm

항산(恒山)

2017

캔버스에 아크릴릭

197 x 333.5 cm

풍혈(風穴)

2016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 x 130 cm

풍목(風木)

2016

캔버스에 아크릴릭

181.5 x 227 cm

풍광(風光)

2017

캔버스에 아크릴릭

227.5 x 182 cm

폭풍설

2018

캔버스에 아크릴릭

112 x 162 cm

파란 구름

2017

캔버스에 아크릴릭

112 x 162.3 cm

치솟음

2017

캔버스에 아크릴릭

259 x 194 cm

춘색(春色)

2018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 x 130 cm

천고(天高)

2017

캔버스에 아크릴릭

227 x 181.7 cm

우레비(雷雨)

2017

캔버스에 아크릴릭

259.5 x 364 cm

오지 않는 길양이

2018

캔버스에 아크릴릭, 먹

90.5 x 72.5 cm

수평선

2018

캔버스에 아크릴릭

112 x 162 cm

수직 · 수평면 풍경

2018

캔버스에 아크릴릭

130 x 161.7 cm

설오(雪烏)

2018

캔버스에 아크릴릭, 먹

116.5 x 91 cm

상강(霜降)

2017

캔버스에 아크릴릭

182 x 259 cm

보라 보라 보라

2017

캔버스에 아크릴릭

182 x 518 cm

물부서짐(碎水)

2016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 x 130 cm

동동(冬東)

2017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 x 130.3 cm

답설(踏雪)

2018

캔버스에 아크릴릭

91 x 116.5 cm

2017

캔버스에 아크릴릭 과슈

161.5 x 455 cm

십자가

1992

캔버스에 유채

112 x 193.9 cm

학살

1992

캔버스에 아크릴릭

97 x 162 cm

눈 속의 연락병

1992

캔버스에 아크릴릭

72 x 161.7 cm

부모들

1992

캔버스에 아크릴릭

130.3 x 162.1 cm

한 유격대원의 죽음

1992

캔버스에 아크릴릭

193.7 x 97 cm

토벌대의 '포로'

1992

캔버스에 아크릴릭

97 x 162 cm

망보는 소년들

1992

캔버스에 아크릴릭

130.3 x 162.1 cm

한라산 자락 사람들

1992

캔버스에 아크릴릭

112 x 193.7 cm

동백꽃 지다

1991

캔버스에 아크릴릭

130.6 x 162.1 cm

축성 (築城)

1991

캔버스에 아크릴릭

97 x 193.7 cm

이승과 저승 사이

1991

캔버스에 유채

140 x 227 cm

광풍 (狂風)

1991

캔버스에 유채

145 x 227 cm

붉은 바다

1991

캔버스에 아크릴릭

97 x 250 cm

천명 (天鳴)

1991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 x 250 cm

공격

1991

종이에 목탄

55.3 x 152 cm

겁간

1991

종이에 목탄

55.3 x 76 cm

고문

1991

종이에 목탄

65.7 x 49.7 cm

3·1 대시위

1991

종이에 콘테

59 x 150 cm

시원 (始原)

1989

종이에 펜과 먹

38.7 x 53.2 cm

뼈 노래

1998

캔버스에 유채

162.2 x 259 cm

살 노래

1997

캔버스에 유채

162.2 x 259 cm

북 48년

1996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2 x 130.3 cm

팽나무와 까마귀

1996

캔버스에 아크릴릭

97 x 162.2 cm

흙 노래

1995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2 x 259 cm

빌레못굴의 유골

1992

캔버스에 유채

116.7 x 80.3 cm

빈 젖

1992

캔버스에 유채

116.7 x 72.7 cm

불 인 (不 仁)

2017

캔버스에 아크릴릭

333 x 788 cm

깊고 깊은 바다 밑

2015

캔버스에 아크릴릭

197 x 333.3 cm

초록

2013

캔버스에 아크릴릭

97 x 162 cm

거멀창

2009

캔버스에 아크릴릭

259 x 194 cm

젖먹이

2007

캔버스에 아크릴릭

160 x 130 cm

꽃비

2004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1 x 130.3 cm

버트 하디 사진에 대한 경의

2017

캔버스에 아크릴릭

182 x 455 cm

1981

종이에 포스터컬러, 파스텔

156 x 156 cm

노야 (老野)

2011

캔버스에 아크릴릭

194 x 259 cm

사연 (思蓮) I

2019

캔버스에 아크릴릭

116 x 91 cm

News
가로모드를 지원하지 않습니다.